IP Packet의 한계점
1. 비연결성
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어도 전송하는 측에서는 이걸 알 방법이 없다.
예를 들어,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특정 IP 패킷을 전달할 때, 서버가 고장난 경우, 클라이언트에서는 그 사실을 모르고 그냥 패킷을 전송한다.
2. 비신뢰성
패킷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패킷이 중간에 소실되거나 순서가 바뀐 경우 전송측에서 알 수 없다.
(1) 패킷이 중간에 소실된 경우 -> 전송측에서 알 수 없음
(2) 큰 용량의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달 중인 경우
ex) foo / bar / Hello 순서로 클라이언트에서 전송했는데
서버측에서는 Hello / bar / foo 순서로 패킷을 받게 될 수 있다.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콘텐츠 협상 (0) | 2022.02.22 |
---|---|
HTTP 주요헤더 (0) | 2022.02.22 |
HTTP (0) | 2022.02.22 |
TCP 통신 (0) | 2022.02.22 |
TCP vs UDP (0) | 2022.02.22 |